아직 그리지 못 한 풍경
권률장군의 넋 행주산성을 찾아서 본문

행주산성은 토축산성으로 둘레는 약 800m이며 1593년 권율이 이끄는 부대가 왜군을 크게 물리친 행주대첩 전적지로 유명하다.
충장공 권율 도원수는 1592년 7월8일 이치싸움에서 적을 크게 격멸하여 대첩을 이루고 12월에 수원
독왕산성에서 또 왜적을 무찌른 후 한성을 수복하고자 작전을 개시하였다. 전라병사 선거이는 수원 광교산에, 전라 초모사 변이중은 양천에, 창의사
김천일은 통진에, 충청감사 허욱은 파주와 양주를 연결하는 전선을 펴고 명나라 군사와 협공하고자 하였다.
1593년 1월 8일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평양성을 탈환하고 그 여세를 몰아 한성으로 내려오다가 1월 28일 벽제관 부근 숫돌고개에서 왜장 소조 천융경의 복병에게 패하여 북으로
후퇴하기 시작하였다. 조선은 단독으로 한성에 집결한 왜군을 공격할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충장공 권율 도원수가 조방장 조경과 승장 처영등 정병
2천 3백여명을 거느리고 한강을 건너 행주 덕양산에 진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 권율 도원수는 아현고개로 정하려 하다가 조경이 행주
덕양산을 물색하여 권율 도원수에게 아뢰어 성지로 결정하니 이곳이 바로 행주산성이다.
충장공 권율 도원수는 해발 124m의 덕양산 중턱에 이중의 튼튼한 목책성을 쌓았다. 전투 준비가 끝난 1593년 2월 12일 새벽
6시경 우끼다 히데이에가 이끄는 3만 왜군은 행주산성을 겹겹이 포위하고 3진으로 나누어서 9차례에 걸친 맹공을 가해왔다. 권율 도원수와 승장
처영은 필사항전의 돌격명령을 내려 베고 찌르는 처참한 접근전을 벌였다. 치열한 공방전이 있은 후 왜군은 많은 사상자를 내고 드디어 물러갔다.
이때가 어둠이 드는 저녁 6시경이었다.
이 대첩이 충무공의 한산대첩과 아울러
길이 빛나는 행주대첩이다. 이 대첩에는 고양의 부녀자까지도 치마폭에 돌을 날라 석전을 전개하였던 것으로 그 치마를 행주치마라 부르는데 이를
계기로 다른 지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지금도 산중턱에 목책 자리가 남아 있고 삼국시대 토기조각이 출토되어 옛날에도 이곳이 군사기지였던 것을
알 수 있다. 1602년에 건립한 행주대첩비가 비각 속에 남아 있으며 1963년에 세운 대첩비도 서 있다. 이 비의 전면 글씨는 고 박정희
대통령이 썼다.
1970년 대대적인 정화공사를 하면서 충장공 권율 도원수의 사당인 충장사를 다시 짓고 정자와 문을 세워 경역을 규모있게 조성하면서
1845년에 세운 행주기공사 경내의 대첩비는 충장사 옆으로 옮겼다. 행주산성에서는 임진왜란 때 왜군을 격파하여 나라를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큰 공을 세운 충장공 권율 도원수의 행주대첩을 기념하기 위한 제례행사와 그 밖의 여러 가지 문화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행주대첩제는 이 행사에서 가장 중요한 행주대첩을 기념하는 제례이다. 각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권율 도원수의 영정이 모셔져 있는
충장사에서 행해지는 이 제례에는 고양시장이 초헌관이 되어, 장군의 영혼을 불러들이기 위해 향을 피우고 술을 잔에 따라 모토 위에 붓는 강신례,
장군의 신위를 봉헌하는 헌폐, 제사에 사용한 술과 제물을 마시고 먹는 음복례, 그리고 망요례, 사신례(사당을 지키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의
사방위신에게 절을 올리는 것)등의 순으로 제례를 지낸다. 원래 이 제례는 해방전까지 봄과 가을 두차례에 걸쳐 올려졌으나, 오늘날에는 한해에 한번
양력으로 3월 14일에 행해지고 있으며 또 원래는 행주 나루터 부근에 있는 행주기공사에서 제례가 올려졌으나, 6.25전쟁으로 사당이 소실되는
바람에 1970년에 장소를 이동하여 복원된 충장사에서 제례를 지내고 있는 것이다.
충장공 권율 도원수에 대한 제례 이외에 이 날에는 고양문화원이 주관하는 민속놀이 등이 열리고 있으며, 행주대첩 승전기념 전국
남녀궁도 대회도 개최되고 있다.
- 지정번호 : 사적 제56호
- 지정일 : 1963년 01월 21일
- 시대 : 삼국시대
- 규모 :
105,017평
- 역사적 의미: 임진왜란 당시 권율장군이 3대첩중의 하나인 행주대첩을 승리로 이끈 싸움터이다.
- 관리 :
행주산성 관리사무소
- 이용안내
* 하절기 (3 ~ 10월) : 09:00 ~ 18:00
* 동절기 (11 ~ 2월) :
09:00 ~ 17:00
* 입장은 퇴관시간 1시간 전까지
* 휴관일 없음
[펌글입니다.]
'역사문화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곡리 선사유적지를 찾아서 (0) | 2011.06.27 |
---|---|
백제의 고장 부여,공주 (0) | 2010.07.26 |
미황사 (0) | 2007.04.06 |
최남단 해남, 진도를 찾아서 (0) | 2007.03.29 |
아. 대한민국의 가을 (0) | 200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