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립공원

【야생화 탐방】 계절의 여왕 5월의 광릉 국립수목원에서

緣佑(연우) 2017. 5. 16. 01:06




 【 광릉 수목원의 오월 】


오월의 황금연휴가 시작될 쯤 광릉 수목원에 

광릉 요강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올 초부터 광릉요강꽃을 볼려고 벼르고 있던 차라 

날의 잡아야 하는데 연휴가 길어서 좀처럼 

여유도 없고 예약을 하기란 하늘에 별따기였다. 


별수없이 연휴가 끝나기를 기다려 부러 일정을 잡아 예약하고 

광릉요강꽃을 보기 위하여  광릉수목원을 찾았다 .

5월의 싱그러움에 수목원의 녹음이 짙어가고 

뒤질세라 앞다퉈 피어난 꽃들이 자신의 영역에서 

여염없이 향기를 품거나 나름대로의 방법을 동원해 번식을 시작했다 


내가 광릉수목원을 찾았을땐 광릉요강꽃은 끝물이라 

거의 시들거나 수분활동을 마치고 또 다른 계절을 준비하고 있었다.


광릉은 조선조 세조의 능으로  수목원은 그 부속림이다.

수목상태가 엄격이 보존되어 일제 강정기에 임업 시험장으로 개원하였고

일반인들에게 공개된 것은 1987년이다. 


지금은 국립수목원이 종자보존과 연구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인에게 산림욕과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광릉수목원에는 2,800여종의 식물이 서식하고있으며

1,600여종의 동물이 살고있다고 한다.


광릉물푸레·광릉개고사리·광릉용수염풀·

광릉골무꽃·광릉요강꽃 등과 같이 

광릉에서 발견되어 이름이 붙여진 희귀식물이도 있으며 

외래종도 900여종이 이른다고 하니 

계절별로 이곳을 찾으면 자연사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듯하다.


광릉수목원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꽃이 멸종위기 

1급의 광릉요강꽃인데 지금은 화천, 천안수목원등에서 

재배에 성공하여 화천의 비수구미와 천안수목원에 가면 

광릉요강꽃을 구경할 수 있다.




 

 

 


 

 

 

 


 

▲ 광릉요강꽃

 

 

 


 

 

 

 


 

 

 

 


 

 

 

 

 


 

 

 

 

 


 

▲ 가막살나무

 

 


 

▲길마가지 열매

 

 


 

▲ 노린재나무

 

 

 


 

▲ 가막살나무

 

 


 

▲ 봄맞이꽃 열매

 

 


 

 

 

 


 

 

 

 


 

▲ 쥐오줌 풀  : 식물의 뿌리에서 쥐 오줌내새와 같은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칠엽수

 

 


 

▲ 복주머니란

 

 

 


 

▲ 꽃 꿩의다리 : 부산에서 발견된 식물

 

 


 

▲산오이풀 : 잎에서 오이냄새가 난다.

 

 


 

▲ 가래바람꽃

 

 

 


 

▲백두산떡쑥

 

 


 

▲정향풀

 

 

 


 

▲금꿩의 다리

 

 

 


 

▲ 큰꽃으아리

 

 

 


 

▲ 할미꽃

 

 

 


 

▲ 붓꽃

 

 

 


 

▲ 고추나무 :  잎의 생김새가 고추잎과  비슷하고 실제로 잎은 매운맛이 난다.

▲금낭화

 

 

 

 

▲가래바람꽃

 

 

 


 

▲가래바람꽃

 

 

 


 

▲부겐베리아

 

 

 


 

▲길마가지 열매

 

 

 


 

▲ 매자나무

 

 

 


 

▲가침박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 나무

 

 

 


 

▲윤노리 나무

 


 

▲ 닥나무

 

 

 


 

▲ 갈래조팝

 

 


 

▲매자

 

 

 


 

▲반호테조팝

 

 

 


 

▲산사나무

 

 

 


 

▲ 자주목련나무

 

 

 


 

 

 

 


 

▲청나래 고사리

 

 

 


 

▲ 피나무

 

 

 


 

▲ 보리수

 

 


 

▲찰피나무

 

 


 

▲ 매발톱

 

 

 


 

▲ 골파

 

 

 


 

▲두루미꽃

 

 


 

▲풀솜대

 

 

 


 

▲만병초

 

 

 


 

▲ 수련

 

 

 


 

 

 

 

 


 

▲ 동의나물

 


 

▲미나라아재비

 

 

 


 

▲ 동의나물

 

 

 


 

 

 

 

 


 

 

 

 

 


 

▲매발톱

 

 

 


 

▲솔송나무

 

 

 


 

▲ 골파

 

 

 


 

▲가래바람꽃

 

 

 


 

▲뻐국채

 

 

 


 

▲ 삼지구엽초

 

 

 


 

▲ 산사나무

 

 

 


 

▲ 두메양귀비

 

 

 


 

▲미나리 아재비

 

 

4487